Pro Tools Preference – Operation에 대하여…

Operation Preference

프로툴스의 오퍼레이팅에 관한 사항으로 레코딩과 플레이백에 관여한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Timeline Insertion Follows Playback –
플레이백을 멈춘 시점에서 커서가 자동으로 위치합니다.

Edit Insertion Follows Scrub/shuttle –
스크러빙이 멈춘 시점에서 커서가 자동으로 위치합니다.

Support Background Record Applications –
프로툴스와 동시에 오디오 레코딩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Send Default to “-INF” –
센드를 만들 때 처음에는 소리가 나가지 않도록 페이더가 무한대에서 시작되게 합니다.

Audio During Fast Forward/Rewind –
오디오의 빠른 forward와 rewind에서 소리를 들어볼 수 있게 합니다.

Latch Record-Enable buttons –
여러개 이상의 트랙이 동시에 레코딩이 가능하도록 지정합니다.

Latch Solo Buttons –
여러개 이상의 트랙이 동시에 솔로로 재생이 가능하도록 지정합니다.

Link Mix and Edit Group Enable –
믹스윈도우와 에디트윈도우의 그룹 설정, 해제를 링크시킵니다.
이 기능이 해제되어 있을 경우에는 믹스윈도우의 그룹을 설정하면
에디트윈도우의 그룹은 설정되지 않습니다.

Use F11 Key for Wait For Note –
미디 레코딩을 할 때 이 기능을 설정해 놓으면 ‘wait for note’모드가 됩니다.
즉, 최초 미디 신호가 올 때까지 기다리고 있다가 신호가 들어오면 녹음이 시작됩니다.

Numeric Keypad Mode –
키보드의 숫자판에 Classic, Transport, Shuttle기능을 부여합니다.

Classic : 프로툴스 5.0버전 이전에 사용하던 키패드 모드입니다.
콘트롤을 누른 상태에서 숫자키를 누르면 0~9까지 각 숫자에 따라
다른 빠르기의 속도로 재생할 수 있습니다.
메모리 로케이션 넘버를 입력하여 메모리 로케이션을 불러올 수 있습니다.

Transport : 키보드의 숫자판을 트랜스포트 기능으로 사용합니다.
녹음, 재생에 필요한 기능을 0~9까지의 각 숫자에 지정이 되어 있습니다.

Function
Key
Click on /off
7
Countoff on/off
8
MIDI Merge/Replace mode
9
Loop Playback mode on/off
4
Loop Record mode on/off
5
QuickPunch mode on/off
6
Rewind
1
Fast Forward
2
Record
3
Play/Stop
0

표) Transport Numeric Keypad Modes 서 각 숫자판에 해당하는 기능들

Shuttle (TDM System Only)
셔틀버스 아시져? 집 ~ 학교 등의 일정구간을 왕복하는 버스, 프로툴스에서는
앞 뒤로 테입을 돌리는 것을 말하는데 비디오 리모콘의 조그셔틀의 기능과 같다고
보시면 됩니다. Suttle mode에서는 각 기능에 해당하는 숫자키를 누르고 있는 동안만 작동을 합니다. 숫자키를 누르지 않으면 작동을 멈추게 됩니다.
숫자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다양한 속도의 재생을 위해 숫자키의 조합의 기능도
가지고 있습니다. Suttle 모드에서는 트랜스포트의 프리,포스트롤 설정이 무시됩니다.

Function
Key
1 x Forward
6
1 x Rewind
4
4 x Forward
9
4 x Rewind
7
1/4 x Forward
3
1/4 x Rewind
1
1/2 x Forward
5+6
1/2 x Rewind
5+4
2 x Forward
8+9
2 x Rewind
8+7
1/16 x Forward
2+3
1/16 x Rewind
2+1
Loop Selection (1x)
0

표) Shuttle Numeric Keypad Modes에서 각 숫자판에 해당하는 기능들

Auto Save –
불시의 사고를 대비하여 프로그램이 자동적으로 저장할 수 있도록 지정합니다.

Online Option –
프로툴스가 외부기기로부터 타임코드를 받아 녹음이 시작될 수 있도록 설정 합니다.

Record Online at Time Code (or ADAT) Lock :
ADAT이나 타임코드를 발생할 수 있는 외부기기와 프로툴스가 연결된 상태에서
레코딩이 가능합니다.

Record Online at Insertion / Selection :
트랙안에 레코딩하고 싶은 부분만 온라인상으로 레코딩이 가능합니다.
프로툴스는 타임코드를 받는동안에는 계속 녹음이 진행되는데
이 기능이 체크되면 선택 구간만 온라인상에서 레코딩이 됩니다.

Open – Ended Record Allocation –
하드디스크의 공간을 얼마나 레코딩에 사용할 것인지 결정합니다.

Use All Available Space :
하드디스크의 모든 공간을 레코딩할 수 있도록 사용합니다. 이것은 하드 디스크에 따라
시스템의 속도를 저하시킬 수도 있습니다.

Limit To : 하드 디스크의 공간을 분 단위로 설정하여 제한합니다.
하드디스크에 따라 시스템의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Machine Control
(Digidesign에서 나온 Machine Control이란 소프트 웨어를 설치 해야 한다.
베타와 연동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Machine Chases Memory Location :
선택된 메모리로케이션을 연결된 트랜스포트가 찾습니다.

Machine Follows Edit Insertion/Scrub :
연결된 트랜스포트가 스크러빙이나 새로운 삽입 포인트를 따라 이동합니다.

Machine Cues Intelligently :
새로운 큐 포인트를 이동할 때 연결되 트랜스포트도 따라서 이동합니다.

Remote Mode
Punch in Frame Offset : 펀치 인할 때 리전이 앞으로 당겨짐과 지연됨을 보정하기 위해 프레임 단위의 옵셋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Auto Regions Fade In/Out –
리전의 시작과 끝에 자동적으로 페이드인 아웃 시킬 구간을 미리세컨드단위로
설정합니다.(0~10ms) 0으로 설정 한다면 자동 페이드는 되지 않습니다.

Calibration Reference Level –
프로툴스가 칼리브레이션모드일때 초기상태의 칼리브레이션 리퍼런스레벨을
dB단위로 설정 합니다.

ProTools Display Preference에 대하여….

Display Preference
디스플레이 프리퍼런스에서는 화면상에 보여지는 사항에 대해서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Recompute Invaild Overviews
– 작업도중 발생한 오류가 있는 웨이브 파형들을 재구성해서 보여 주도록 합니다.

Draw Waveforms Rectified
– 웨이브파형의 +극만 표시합니다. 트랙이 많은 경우 각 트랙뷰의 높이를 줄여서
  보아야 할 때 볼륨 오토메이션을 편집할 때에도 유용 합니다.

Draw Grid in Edit Window
– 에디트 윈도우에서 그리드를 표시합니다. 그리드 범위는 에디트 윈도우의
  Grid Value에서 설정 합니다.

Mix Window Follow Bank Selection
– 외부 미디 컨트롤러로 뱅크를 바꿀 때 자동적으로 믹스 윈도우의
  뱅크 디스플레이를 업데이트합니다.

Edit Window Follow Bank Selection
– 외부 미디 컨트롤러로 뱅크를 바꿀 때 자동적으로
에디트 윈도우의 뱅크 디스플레이를 업데이트 합니다.

Show Meters in Send View
– 센드뷰 안에 센드콘트롤의 레벨 미터를 표시합니다.
  이 기능은 CPU에 부담을 주게 되므로 가급적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Edit Window Default Length
– 레코딩 세션의 시간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시간, 분 , 초, 프레임 단위로
  설정해 줄 수 있는데 프로툴스에서 최대 레코딩 시간은 13시간입니다.

Edit Window Color Coding
– 에디트윈도우의 웨이브파형의 색깔을 설정합니다.

None : 웨이브파형에 어떠한 색깔도 사용하지 않습니다

Tracks and MIDI Channels : 트랙 넘버와 미디 채널에 따라
                              다른 색깔을 부여 합니다.

Tracks and MIDI Device : 트랙 넘버와 미디 디바이스에 따라
                            다른 색깔을 부여 합니다.
Group : 그룹 ID에 따라 웨이브 파형의 색깔을 부여 합니다.

Peak Hold Option – 레벨 미터에서 피크가 발생 했을시에 피크 표시를
                     얼마만큼 지연시킨후에 사라지게 할 것인지 결정 합니다.

3-Second Peak Hold : 마지막의 피크가 발생한 후 3초후에 사라집니다.

Infinite Peak Hold : 마우스로 피크 표시를 클릭해서 사라지게 하기 전까지
                      보여지게 합니다.
No Peak Hold : 피크 표시를 하지 않습니다.

곧 NUENDO 2.0이 출시될 것 같네여…

곧 누엔도 2.0이 출시될 것 같네여…
Preference Preset을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이 이번 업데이트의
가장 핵심 이라고 하는군요~물론 세세한 버그도 잡았겠죠~^^

Preference를 모두를 저장하고 불러내는 것이 아니라
Preference 대화창에 각각의 기능에 대해 저장을 할건지 하지 않을건지
선택할 수 있는 메뉴가 있어서자신에게 맞는 기본 환경을 세팅해 놓는다면..
다양한 작업 환경에서 보다 편하게 작업을 할 수 있을거란 생각이 드는군여~^^

아래는 Steinberg Homepage적으루다가 올려져 있는 내용입니다.

Preference Presets

Nuendo 2.0 allows the storing and loading of user preference sets. This allows you to not only recall different system settings for various working situations but also take your preferred settings with you and apply them to another system when you are working on a Nuendo system at another lo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