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툴스 오디오 인터페이스 칼리브레이션하기

프로툴스 오디오 인터페이스 칼리브레이션하기
1. 프로툴스 프로그램을 실행합니다.
2. File > New Session 새로운 세션을 만듭니다.
3. Setups > Preference > Operations를 선택합니다.
4. 칼리브레이션 레퍼런스 레벨을 입력합니다. AES의 표준 규격은 -18dB입니다.
5. Done을 클릭합니다.
6. File > New Track 새로운 트랙을 만듭니다.
7. 인서트에 Signal Generator 플러그인을 걸어줍니다.
8. 시그널 제너레이터의 아웃풋을 설정합니다.
   이 값은 칼리브레이션 레퍼런스 레벨과  같아야 합니다.
9. 시그널제너레이터의 프리퀀시를 1000Hz로 설정합니다.
10. 시그널제너레이터의 시그널 웨이폼을 Sine으로 설정합니다.
11. 트랙의 아웃풋을 Bus 1번으로 만들어 주세요.
12.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아웃풋 갯수 만큼 모노 억스트랙을 만듭니다.
    억스의 아웃풋은 각각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아웃풋으로 나갈 수 있도록 합니다.
13. 억스트랙의 인풋을 Bus 1번으로 설정합니다.
14.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인풋 갯수 만큼 모노 억스 트랙을 만듭니다.
    억스 트랙의 인풋을 각각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인풋으로 설정합니다.
    다음 아웃풋을 사용하지 않는 버스로 보내 버립니다.
    이것은 피드백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버스 31,32번을 선택해 주면 됩니다.
15.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아웃풋을 VU 미터기의 인풋에 연결합니다.
    VU 미터기가 한 개라면 한번에 한 개씩 칼리브레이션 할 수 있겠지요?
16. 쉬프트+옵션+ 프로툴스의 모든 페이더를 클릭하여 0dB로 맞춥니다.
17. VU 미터와 연결된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아웃풋 트림포트를
    십자 드라이버로 돌려 VU 미터의 레벨이 “0VU” 에 오도록 조정합니다.

트림 포트는 192I/O는 리어 패널에 888은 프로트 패널에 있습니다.
96I/O에는 없습니다.

18. 아웃풋의 1번은 인풋 1번으로, 아웃풋의 2번을 인풋 2번으로..    
     같은 방식으로 아웃풋과 인풋을 케이블로 연결합니다.
19. 프로툴스로 돌아와서 Operation > Calibration을 선택,
    칼리브레이션 모드로 들어갑니다.

칼리브 레이트되지 않은 트랙의 이름이 깜박이게 됩니다.
트랙 볼륨 인디케이터에는 칼리브레이트된 아웃풋에서 나온 시그널이 들어오는 것이
보일 것입니다.

20. 각각의 인풋 트림포트를 십자 드라이버로 돌려 레퍼런스 레벨과 동일하게
     맞추어 줍니다. 레퍼런스 레벨과 동일하게 맞추어 준다면 트랙의 이름이
     깜박이는 것을 멈추게 됩니다.
21. 칼리브레이션이 끝났습니다.
Operation > Calibration Mode를 다시 클릭하여 칼리브레이션 모드를 종료합니다.

DAE folder효율적으로 사용하기

DAE folder효율적으로 사용하기
네가지의 DAE 폴더를 시스템 폴더에 심어 놓고
작업상황에 따라 바꾸어가며 사용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1. 레코딩용
프로툴스 설치시 번들로 깔려있는 플러긴 세팅입니다. 만들필요도 없지요

2. 편집용
AUTO-TUNE, VOCALIGN, PICTH N TIME, SOUND REPLACER, DINR, RAY GUN 등

3. 마스터링용
TC MASTER X, WAVE DE-ESSOR, L2, C4 , MAGNETO, 리버브등

4. 믹싱용
1,2,3 을 제외한 (혹은 포함한) 모든 플러긴들
시스템폴더안에는 DAE folder 1, DAE folder 2, DAE folder 3, DAE folder 4
라는 이름으로 심어져 있으며 사용할때만 DAE folder 로 이름을 바꾸어 주면 됩니다

장점으로는
1. 메모리에 부담을 적게 준다는 점
2. 인서트를 열었을때 엄청나게 많은 플러긴중 해매며 찾을 필요가 없다는것
3. 어느 녹음실에가서 작업을 하든 나만의 세팅으로 할 수 있다는점
(작업이 끝나면 휴지통으로 쏘옥…^^)

단점으로는
1. 처음엔 좀 귀찮다(?) 는 점 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