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다. 음악은 시간성을 가지고 있기에 과거로 되돌릴 수도 없고 그렇다고 음악에서 합리
화의 명분으로 주체의 자연에 대해 지배해온 결국 주체의 자유를 빼앗겨버린 그러한 음
악적 상황을 어떻게 해쳐갈지 문제를 제기하였습니다.
쇤베르크의 ‘모세와 아론’을 통해 바라본 그 해법을….그 이후로는 앙포르멜의 음악에
대한 기대감을 아도르노 스스로는 가지게 되었습니다. 여기서 모세가 아니 어쩌면 아도
르노 자신이 말하고자 했던 것. 절대적인 것에 대한 우상화, 음을 이미지화하는 것에 철
저히 반대의 입장을 취하였습니다.
우리가 음악을 인식하는 데 있어서 시각적 이미지, 청각적 이미지, 제 개인적으로는 음
악적 이미지를 통하여 인식을 하게 된다면 그것이 가능한 것인지요? 음악을 회화나 조
각 등이 표현의 대상을 가지는 것에 대해 음악은 무대상적 내면성이라고 말한 헤겔의
입장에서 음악의 비언어적 속성,음이 가지는 고유한 형식이 어떻게 인간에게 전달될 수
있을까요?
새로운 음악은 우리가 그것을 듣는데 훈련되지 않아도 감동받고 이해할 수 있는 것인가
요? 감동이 없다면 우리가 그러한 음악을 예술로서 인정할 수가 있는 것인지….참다운
예술작품을 새로운 음악속에서는 어떻게 찾아야 하는 것일까요?
언제까지 작곡가들은 대중들의 귀가 자신들의 작품을 이해할 수 있을 만큼의 지식을 얻
어야 하며 또 지각가능하도록 청각적 훈련을 받아야하는가요? 지금 상황으로서는 대중
들은 그만큼 시간을 투자하고 싶어하지 않은 것 같은데…..
음악과 사회와의 관계에서 작곡가, 연주자, 청중은 현재의 이러한 상황에서 어떠한 길을
가야만 하는가요?
그냥 늘 궁금하던 문제입니다. 아직 해결 안된 것들이고요. 며칠전 서울국제컴퓨터음악
제를 다녀오고서 이런 저런 생각들이 스쳐지나갔습니다.